개요
인공지능 공부를 하면서 수학의 부족함이 느껴졌다.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이라는 책을 읽고 있지만, 미분부분에서 좀 더 상세한 공부가 필요할 것 같아 강의를 찾아 듣고 있다. 그러던 도중 KOCW에서 미적분학 기초를 듣다가 멘붕이 와서 찾아봤다.
출처
대학수학 공부법
출처
대학수학 공부법
대학수학의 개요
- 문과
- 상경대학(정치, 경제, 통계, 금융)
- 미적분학1, 2 (일부)
- 경제수학
- 선형대수학 (일부)
- 미분방정식 (일부)
- 확률과통계 → 통계학
- 이과
- 이과대학(수학, 물리, 화학)
- 미적분 1, 2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해석학
- 공과대학
- 미적분 1, 2
- 정확히 익히고 싶음 (대학원)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공업수학 (증명과정이 생략돼있음)
=> (공통부분) 미적분 1, 2
대학수학 공부의 적응법
신입생
고등 미적분 vs 대학 미적분
고등학교 때 봤던 증명들을 상세하게 증명한다.
고등 미적분 vs 대학 미적분
고등학교 때 봤던 증명들을 상세하게 증명한다.
- 왜? 푸는 것 → 생각하는 것
- 기호에 관해서 궁금 X
- 꼼꼼한 증명
생략 X ex) 수를 실수로 할 때와 같은 소소한 것도 생략 X - 기하와 벡터 (고등과정) Review2학기 (1학기 여름방학)
이론적부분을 설명하지 않고 넘어감 - 확률과 통계
복학생
남복학생 vs 일반복학생
남복학생 vs 일반복학생
- 기본수학 완성
- 미적분학 1, 2 공부
증명과정은 이해 → 문제 풀이(연습필수) - 공업수학(선대 + 미방)
- 선대, 벡터 & 행렬
- 미방, 상미분방정식 & 편미분방정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