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6일 화요일

[카카오] 2019 신입 공채 1차 (1)

   출처

   1. 오픈채팅방
문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record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담긴 배열이며,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이다.
다음은 record에 담긴 문자열에 대한 설명이다.
  • 모든 유저는 [유저 아이디]로 구분한다.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으로 채팅방에 입장 - “Enter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Enter uid1234 Muzi”)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퇴장 - “Leave [유저 아이디]” (ex. “Leave uid1234”)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을 [닉네임]으로 변경 - “Change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Change uid1234 Muzi”)
  • 첫 단어는 Enter, Leave, Change 중 하나이다.
  • 각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로만 이루어져있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은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한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의 길이는 1 이상 10 이하이다.
  • 채팅방에서 나간 유저가 닉네임을 변경하는 등 잘못 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는다.


입출력 예

  • record :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 result :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문제 풀이


첫 번째 문제답게 큰 고민 없이 연관 배열(맵)을 이용해서 쉽게 풀 수 있습니다.

record 를 순회 하면서


  • Enter, Leave 인 경우 유저 아이디와 함께 정답에 출력될 메시지의 종류를 기록을 해둡니다. 이렇게 기록해둔 것을 events 라고 합시다.
  • Enter, Change 인 경우 연관 배열을 이용하여 각 유저 아이디를 키로, 닉네임을 값으로 저장해 둡니다. 이렇게 해서 최종 닉네임을 유저 아이디별로 유지합니다.

이제 events 를 순회하면서 채팅방에 출력할 메시지를 생성할 때, 연관 배열에 저장된 아이디별 최종 닉네임을 이용하면 됩니다.

   2. 실패율
문제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 : 5, 4
  • stages : [2, 1, 2, 6, 2, 4, 3, 3], [4,4,4,4,4]
  • result : [3,4,2,1,5], [4,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1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2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3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 [3,4,2,1,5]
입출력 예 #2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

  • [4,1,2,3]



문제 풀이


문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문제는 정렬을 이용해서 풀 수 있습니다.

먼저 주어진 배열의 길이를 이용하여 전체 사용자 수를 구하고, stages 를 순회하며 각 스테이지에 몇 명의 사용자가 도달했는지 세줍니다. 이렇게 만들어둔 배열(각 스테이지별 사용자 수가 들어있는)을 순회하면서 stages 를 참고하여 스테이지별 실패율을 계산합니다. 이때, 스테이지에 도달한 사용자가 0명인 경우 예외 처리를 해야 합니다. 스테이지별 실패율을 구했다면, 각 스테이지 번호와 묶어서 실패율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실패율이 같은 경우는 스테이지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오도록 정렬하면 됩니다.

   3. 후보키
문제

프렌즈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조교인 제이지는 네오 학과장님의 지시로, 학생들의 인적사항을 정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그의 학부 시절 프로그래밍 경험을 되살려, 모든 인적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넣기로 하였고, 이를 위해 정리를 하던 중에 후보키(Candidate Key)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게 되었다.

후보키에 대한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던 제이지는,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관련 서적을 확인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였다.


  •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릴레이션(Relation)의 튜플(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Attribute) 또는 속성의 집합 중, 다음 두 성질을 만족하는 것을 후보 키(Candidate Key)라고 한다.
    - 유일성(uniqueness) : 릴레이션에 있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하게 식별되어야 한다.
    - 최소성(minimality) : 유일성을 가진 키를 구성하는 속성(Attribute) 중 하나라도 제외하는 경우 유일성이 깨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데 꼭 필요한 속성들로만 구성되어야 한다.

제이지를 위해, 아래와 같은 학생들의 인적사항이 주어졌을 때, 후보 키의 최대 개수를 구하라.

위의 예를 설명하면, 학생의 인적사항 릴레이션에서 모든 학생은 각자 유일한 “학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번”은 릴레이션의 후보 키가 될 수 있다. 그다음 “이름”에 대해서는 같은 이름(“apeach”)을 사용하는 학생이 있기 때문에, “이름”은 후보 키가 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이름”, “전공”]을 함께 사용한다면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 가능하므로 후보 키가 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름”, “전공”, “학년”]을 함께 사용해도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지만, 최소성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후보 키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위의 학생 인적사항의 후보키는 “학번”, [“이름”, “전공”] 두 개가 된다.

릴레이션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lat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릴레이션에서 후보 키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relation은 2차원 문자열 배열이다.
  • relation의 컬럼(column)의 길이는 1 이상 8 이하이며, 각각의 컬럼은 릴레이션의 속성을 나타낸다.
  • relation의 로우(row)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이며, 각각의 로우는 릴레이션의 튜플을 나타낸다.
  • relation의 모든 문자열의 길이는 1 이상 8 이하이며,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 relation의 모든 튜플은 유일하게 식별 가능하다.(즉, 중복되는 튜플은 없다.)


입출력 예

  • relation : [[“100”,”ryan”,”music”,”2”],[“200”,”apeach”,”math”,”2”],[“300”,”tube”,”computer”,”3”],[“400”,”con”,”computer”,”4”],[“500”,”muzi”,”music”,”3”],[“600”,”apeach”,”music”,”2”]]
  • result : 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에 주어진 릴레이션과 같으며, 후보 키는 2개이다.



문제 풀이

가능한 모든 어트리뷰트의 조합을 만들고, 이 조합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합만 추려야 하는 문제입니다.

dfs 또는 bit 를 이용한 집합 표현을 이용하여 어트리뷰트의 모든 부분 집합을 만들어냅니다.
만들어지는 각 부분 집합을 이용해서 중복 튜플이 있는지 검사합니다. 만약 중복 튜플이 없다면, 이 부분 집합을 슈퍼 키 집합(유일성을 만족하는 키들의 집합)에 포함시킵니다.

슈퍼 키 집합을 구한 후, 여기서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들을 선택하여 후보 키 집합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슈퍼 키 X에 대해 X의 부분집합인 슈퍼 키 Y가 없다면 (X ⊃ Y인 슈퍼 키 Y가 없다면) X는 후보 키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릴레이션의 어트리뷰트가 ABCDE 이고, 슈퍼 키 집합이 {A, AB, BC, BCE, BDE, …} 라고 해봅시다.


  • A 는 후보 키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AB 는 AB ⊃ A 이므로 후보 키가 될 수 없습니다.
  • BC 는 부분집합이 되는 다른 슈퍼 키가 없으므로 후보 키로 선택됩니다.
  • BCE 는 BCE ⊃ BC 이므로 후보 키가 될 수 없습니다.
  • BDE 는 부분집합이 되는 다른 슈퍼 키가 없으므로 후보 키로 선택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후보 키 집합은 {A, BC, BDE, …} 가 됩니다.

가능한 모든 조합을 만드는 부분 때문인지 앞쪽에 배치된 문제임에도 많은 지원자들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입니다.

   4. 무지의 먹방 라이브
문제

* 효율성 테스트에 부분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평소 식욕이 왕성한 무지는 자신의 재능을 뽐내고 싶어 졌고 고민 끝에 카카오 TV 라이브로 방송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냥 먹방을 하면 다른 방송과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무지는 아래와 같이 독특한 방식을 생각해냈다.

회전판에 먹어야 할 N 개의 음식이 있다. 각 음식에는 1부터 N 까지 번호가 붙어있으며, 각 음식을 섭취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무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 무지는 1번 음식부터 먹기 시작하며, 회전판은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음식을 무지 앞으로 가져다 놓는다.
  • 마지막 번호의 음식을 섭취한 후에는 회전판에 의해 다시 1번 음식이 무지 앞으로 온다.
  • 무지는 음식 하나를 1초 동안 섭취한 후 남은 음식은 그대로 두고, 다음 음식을 섭취한다.
  • 다음 음식이란, 아직 남은 음식 중 다음으로 섭취해야 할 가장 가까운 번호의 음식을 말한다.
  • 회전판이 다음 음식을 무지 앞으로 가져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무지가 먹방을 시작한 지 K 초 후에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방송이 잠시 중단되었다. 무지는 네트워크 정상화 후 다시 방송을 이어갈 때, 몇 번 음식부터 섭취해야 하는지를 알고자 한다. 각 음식을 모두 먹는데 필요한 시간이 담겨있는 배열 food_times,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시간 K 초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몇 번 음식부터 다시 섭취하면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food_times 는 각 음식을 모두 먹는데 필요한 시간이 음식의 번호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이다.
  • k 는 방송이 중단된 시간을 나타낸다.
  • 만약 더 섭취해야 할 음식이 없다면 -1을 반환하면 된다.

정확성 테스트 제한 사항

  • food_times 의 길이는 1 이상 2,000 이하이다.
  • food_times 의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k는 1 이상 2,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효율성 테스트 제한 사항

  • food_times 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food_times 의 원소는 1 이상 1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k는 1 이상 2 x 10^13 이하의 자연수이다.

입출력 예

  • food_times : [3,1,2]
  • : 5
  • result :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0~1초 동안에 1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1,2] 이다.
  • 1~2초 동안 2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0,2] 이다.
  • 2~3초 동안 3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0,1] 이다.
  • 3~4초 동안 1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1,0,1] 이다.
  • 4~5초 동안 (2번 음식은 다 먹었으므로) 3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1,0,0] 이다.
  • 5초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다. 1번 음식을 섭취해야 할 때 중단되었으므로, 장애 복구 후에 1번 음식부터 다시 먹기 시작하면 된다.




문제 풀이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려면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해야 합니다.
효율성 테스트의 제한 사항은 정확성 테스트보다 까다롭기 때문에 정확성 테스트를 통과한 풀이를 그대로 적용하면 시간 초과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아이디어가 필요합니다.

정확성 풀이
시간이 1초 지날 때마다 다음 먹을 음식을 반복문을 이용해 하나하나 찾아가며 시뮬레이션하면 됩니다.

효율성 풀이
먼저 음식별 필요 시간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시간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해두면 음식을 먹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한꺼번에 지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렬한 시간이 T = [1, 3, 3, 4, 5]라면 처음에 T[0] * 5 = 5만큼의 시간을 한꺼번에 지울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T[1]부터 남은 시간을 한꺼번에 제거합니다. 즉, (T[1] - T[0]) * 4 = 8 만큼의 시간을 한꺼번에 지웁니다. 마찬가지로 (T[2] - T[1]) * 3 = 0 만큼의 시간을 한꺼번에 지울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간을 지워가다가, 지운 시간의 합이 K 보다 커지게 되면 남은 시간의 개수로 나눈 나머지를 이용해 K 초 후 다시 먹기 시작해야 될 음식의 번호를 바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남은 시간을 다시 원래 음식의 번호 순서대로 재정렬해야 합니다.

꼭 이 방법이 아니라도 K에 도달하는 시점을 빠르게 구할 수만 있으면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